커서의 사용법은 아래 링크에서 자세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은 아래 doc를 참고하시, 개략적인 개요만 정리합니다.
https://docs.cursor.com/ko/welcome
Cursor – 환영합니다
Cursor에 대해 알아보고 시작하는 방법을 배워보세요
docs.cursor.com
Cursor란?
- Anysphere에서 개발한 AI 탑재 통합 개발 환경(IDE)
- Visual Studio Code(VS Code) 기반으로, 친숙한 UI와 확장성 유지
- 최신 AI(LLM)와 연동되어 다양한 AI 코딩 보조 기능 제공
- Cursor는 “AI와 협업하며 개발하는” 바이브 코딩의 대표 IDE
주요 특징
- AI 코드 생성
- 자연어 프롬프트로 원하는 기능을 설명하면 AI가 코드 자동 생성
- 함수, 클래스, 전체 파일 수준의 코드도 작성 가능
- 스마트한 코드 재작성 및 리팩토링
- 기존 코드를 선택해 “더 깔끔하게”, “성능 개선”, “버그 수정” 등 자연어로 명령 가능
- 코드 일부분을 선택해 AI가 자동으로 수정/최적화
- 전체 코드베이스 검색 및 이해
- 프로젝트 전체를 AI가 분석해 관련 코드, 함수, 문서 등을 빠르게 찾아줌
- “이 함수가 어디서 사용되는지?”, “특정 기능이 어디서 구현됐는지?” 등을 자연어로 바로 검색
- AI 기반 코드 리뷰 및 문서화
- 코드 리뷰, 주석 추가, 문서 자동 생성 등도 지원
- 대화형 채팅 및 프롬프트 이력
- VSCode처럼 편하게 쓰면서도, 에디터 내에서 AI와 채팅 가능
- 과거 프롬프트와 응답을 히스토리로 관리 가능
Cursor 설치 방법
1. 공식 사이트 접속
2. 다운로드
- 홈페이지 상단 또는 메인 화면의 “Download” 또는 “Get Cursor” 버튼을 클릭합니다.
- 사용 중인 운영체제(Windows, macOS, Linux)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3. 설치 파일 실행
- 다운로드한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 설치 과정은 일반적인 프로그램 설치와 유사합니다.
4. 첫 실행 및 로그인
- 설치 후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 이메일 또는 깃허브 계정 등으로 로그인(가입)합니다.
5. 프로젝트 열기 및 AI 기능 사용
- 기존 프로젝트를 열거나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면,에디터 내에서 AI 프롬프트, 코드 생성, 스마트 리팩토링 등
Cursor의 다양한 AI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VsCode기반이라 VsCode 사용법과 유사합니다.
설치방법은 계속 달라지므로, 현재 버전 사용법만 참고 바랍니다. (계정이 필요합니다)
Cursor 요금제
Cursor 모델
Claude, Gemini, GPT, Grok, o3, o4-mini 등을 사용합니다.
Cursor 의 핵심기능
Cursor의 주요 기능은 크게 아래 3가지 입니다.
Tab 자동완성 | 문맥을 이해하는 AI 기반 코드 자동완성 (멀티라인, 자동 import, 파일 간 이동 등) | Tab |
대화형 인터페이스 | 코드 질문/편집/에이전트 작업을 통합한 AI 인터페이스 | ⌘I |
인라인 코드 편집 | 코드 라인 내에서 바로 AI 편집을 적용 | Cmd/Ctrl + K |
1. 모드
- Agent 모드
- AI가 전체 코드를 분석해, 여러 파일에 걸쳐 작업을 수행합니다.
- Plan(계획) → Act(실행) 절차를 거치며, 사용자는 승인만 하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 AI가 자율적으로 코드를 생성/편집하는 '자동 완성' 모드
- Ask 모드
- “이 오류 왜 나나요?”, “이 코드 뭐에요?”처럼 묻고, AI가 답하는 Q&A 방식입니다.
- 작업 지시가 아니라 정보/설명/조언을 받을 때 사용합니다.
- 안전하게 코드를 탐색/해설을 위한 '읽기 전용' 모드
- Manual 모드
- 사용자가 AI에게 “이 함수만 리팩터링 해줘”, “여기 주석 달아줘” 등 구체적으로 작업 지시합니다.
- 전체 자동화보다는 세밀한 컨트롤이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
- 사용자가 수동으로 편집할 부분을 지정하는 '수동 제어' 모드
2. Tab
Tab은 자동완성을 위한 특화된 Cursor 모델입니다.
최근 편집 내용을 기반으로 커서 주변의 컨텍스트 인식하여, 코드를 제안합니다.
Tab으로 제안을 수락하거나, Esc로 거부할 수 있습니다.
Tab은 단순 자동완성 그 이상으로, 멀티라인 편집, 자동 import, 파일 간 이동 등 개발 흐름 전체를 AI로 보조합니다.
https://mintlify.s3.us-west-1.amazonaws.com/cursor/images/tab/simple-tab.mp4
3. @기호
@기호는 “특정 리소스, 코드, 파일, 문서, Git, 웹 등”을 AI와의 작업/대화에 쉽게 추가/참조하는 명령어로 파일이나 메서드를 AI가 인식할 수 있도록 명시적으로 지정하여 더 정확한 컨텍스트 기반 AI 활용이 가능합니다.
사용 가능한 모든 @ 기호 목록입니다:
- @Files - 프로젝트의 특정 파일 참조
- @Folders - 더 넓은 컨텍스트를 위한 전체 폴더 참조
- @Code - 코드베이스의 특정 코드 스니펫이나 심볼 참조
- @Docs - 문서 및 가이드 액세스
- @Git - git 히스토리 및 변경 사항 액세스
- @Past Chats - 요약된 composer 세션 작업
- @Cursor Rules - cursor 규칙 작업
- @Web - 외부 웹 리소스 및 문서 참조
- @Link (paste) - 특정 코드나 문서에 대한 링크 생성
- @Recent Changes - 특정 코드나 문서에 대한 링크 생성
- @Lint Errors - 린트 오류 참조 (Chat 전용)
- @Definitions - 심볼 정의 조회 (Inline Edit 전용)
- # Files - 참조 없이 컨텍스트에 파일 추가
- / Commands - 열린 파일과 활성 파일을 컨텍스트에 추가
4. Inline Edit
Inline Edit는 Cmd/Ctrl+K 단축키를 사용해 에디터 내에서 즉시 코드를 편집하거나 AI에게 질문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선택 영역, 커서 위치, 파일 전체 등 다양한 범위에 적용 가능하며, 빠르게 코드 생성·수정·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기능 | 설명 | 단축키 |
선택 영역 편집 | 코드 블록을 선택 후 Ctrl+K → 지시사항 입력 → AI가 해당 코드만 편집 | Ctrl+K |
커서 위치 생성 | 선택 없이 Ctrl+K → 커서 위치 기준으로 새로운 코드 생성/수정 | Ctrl+K |
빠른 질문 | 선택한 코드에 대해 인라인에서 질문 (답변 후 "do it" 입력 시, 답변을 코드로 적용) | Alt+Enter |
전체 파일 편집 | 파일 전체에 대해 포괄적 변경 요청 | Ctrl+Shift+Enter |
채팅으로 보내기 | 선택 코드/블록을 Chat 창으로 보내 고급 기능, 다중 파일 편집, 상세 설명 등 활용 | Ctrl+L |
후속 지시 | 편집 결과에 추가 지시사항 입력해 AI의 결과 개선 가능 | 결과 후 Enter로 지시 |
기본 컨텍스트 | 관련 파일, 최근 코드, @기호 등 다양한 정보로 AI 컨텍스트 강화 | (자동) |
Vibe 코딩 예제
Cursor를 활용해 Vibe 코딩 방식으로 아래와 같은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벽돌깨기 게임 생성
먼저, 브라우저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는 벽돌깨기 게임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index.html과 style.css, game.js 까지 코드를 AI가 직접 구현합니다. - 자연스러운 좌우 이동 구현
이후, 방향키를 눌렀을 때 움직임이 부드럽지 않은 점을 지적하고, 좀 더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개선을 요청했습니다. - 게임에 사운드 추가
다음으로, 게임에 소리 효과를 추가해달라고 요청하여, 사용자 경험을 한층 더 향상시켰습니다. - 추가 개선점 문의
마지막으로 추가 개선 사항을 물어봤으나, 여러 번의 시도 끝에 토큰이 모두 소진되어 더 이상의 개선은 진행하지 못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Cursor와 AI 코딩 도구의 대화형/반복 개선 과정을 경험했습니다.
이런 과정은 단순히 “코드 자동완성”이나 “에러 해결”을 넘어, AI와의 대화를 통해 코드를 함께 “탐색-실험-개선-완성”하는,
즉 “대화 기반 개발”(Conversational Coding)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개발자는 점점 더 “AI와 대화로 협업”하며,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에 집중하고, 구현의 반복적·기계적인 부분은 AI에게 맡기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높을것으로 생각됩니다.
Vibe Coding의 방법
- 간단하게 시작하고, 점차 개선해 나간다.
- 핵심 기능에 대한 기본 요구사항부터 시작, 점차 파라미터 추가 및 개선
- AI에게 너무 많은 정보를 한 번에 주지 않도록 주의
- AI에게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작성한다.
- AI 프롬프트(지시문)에는 동작 절차, UI 등 구체적·명확한 지시 포함
- 지시가 구체적일수록 결과물 품질이 높아짐
- 완벽을 추구하지 말고 반복적으로 조금씩 개선한다.
- 빠른 반복(피드백 루프)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
- AI가 생성한 결과를 수용하고, 테스트·관찰 후 지시를 개선
'LLM'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t oss 20B 파인튜닝 (0) | 2025.09.28 |
---|---|
GPT-OSS (1) | 2025.09.22 |
MCP(Model Context Protocol) (1) | 2025.09.07 |
NotebookLM (3) | 2025.08.29 |
Vibe coding과 Cursor - 1. Vibe Coding이란? (2) | 2025.08.02 |